2023. 11. 30. 00:00ㆍ전기자료/전기관리
변압기 점검 전 방전해야 하는 이유, 방법
1. 문제상황
변압기 차단 후 잔존 전기는 얼마나 됩니까?
제가 40여년 전쯤 부산의 작은 신발 제조 업체에서 비만 왔다 하면 수전 변압기에서 1,2차 부싱 사이에서 지이직 소리와 함께 푸른 빛 아크가 생겼습니다.
아마도 기억에 1차측이 125 KV 였던 것같습니다.
그 당시 라인 스위치를 끄고 변압기 외관을 퐁퐁 물걸레로 닥다가 펑 소리와 함께 부싱의 현수애자가 께어지며 파편으로 날았습니다.
다행이도 저는 파편을 맞지를 않았습니다.
2. 해답
(1)
정전작업시 변압기 1차측 COS개방했다해서 안심하면 안됩니다.
필수적으로 변압기 2차측 메인차단기및 분기차단기는 전부 차단시켜야합니다.
왜냐하면..차단기를 투입상태로 두면 원인모를 전압이 변압기2차측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그전압은 변압기 권선비에 비례하여 1차측에 고압이상인 전압이 유기되어 매우 위험한 상태를 유발시킬수 있습니다.
또한 절대적으로...변압기 2차측 상간저항 측정시에는 메거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만약 500볼트 메거로 상간저항을 측정한다면 500볼트는 권선비에 비례해서 약 25000볼트이상의 특고압이 1차측에 유기될수 있습니다.
만약..1차측에서 누군가 부싱청소를 하고 있었다면..생각만해도 아찔합니다.
그래서 상간저항측정시에는 디지털테스터로 측정하는것이 안전하고요,기능한 변압기 상간코일저항측정시에는 측정자외 접근은 삼가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2)
작은 신발공장이면 22.9kV였을거 같습니다.
정전을 시키더라도 케이블 등에 잔류전하가 많기땜에 만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죠. 그래서 방전 필수입니다.
모든 전기기기는 정전 후 양단 차단기와 단로기를 열고 검전,접지후 작업해야 합니다. 변압기 잔존 전압은 거의 없지만 1차측 단로기만 열었다면 유도전압이 유기되어 감전 및 절연파괴가 일어날수있습니다.
(3)
변압기는 콘덴서가 아니지만 턴간, 그리고 권선과 대지간, 권선과 권선간에 Capacitance성분이 존재합니다.
전원인가하다가 차단하게 되면 당연 이 Capacitance에 의해서 충전이 되게 됩니다. 조금 위험하겠죠?
특히 대용량 변압기의 냉각시 절연유가 회전하면서 외함과 마찰전기 정전기라 하겠죠? 이게 생깁니다.
이때 접지안잡으면 따끔한것이 위험할겁니다. 그외에 Core에 의한 잔류자속으로 인한 전압유기등이 있습니다.
접지는 잡아서 나쁠건 없습니다. 항상 안전에 유의하세요.
(4)
메인 차단기 오프 하시고 접지함에서 1선 인출(접지선)하시어 ds봉 (cos/pf 투입개폐하는 막대기) 에 접지선 연결하시어 변압기단자에 대시고 방전 하시면 됩니다.
(5)
VCB, LBS 차단후 후크봉에 접지선 감고, 반대쪽 접지선은 판넬 접지부스바에 연결하세요. 그리고 PF내리고 각각 변압기 퓨즈쪽 1차, 2차 접촉해서 방전시키세요
'전기자료 > 전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테스터기 사용법에 대해서 (0) | 2023.12.03 |
---|---|
모터의 절연저항과 선간저항 측정 점검 방법 (0) | 2023.12.01 |
단상모터 기동 콘덴서 점검 방법 (0) | 2023.11.27 |
정전복구시 VCB, ACB, MCCB 투입 순서, 주의사항 (0) | 2023.11.26 |
모터(전동기) 고장 점검하는 방법, 절연저항, 저항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