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5. 11:50ㆍ전기자료/전기관리
정류기반(Rectifier) 배터리 교체를 언제하는지, 점검하는 방법
1. 정류기반 배터리 문제상황
2. 배터리 전압 측정
3. 배터리 교체 안 할 시 폭발 가능성
4. 배터리 교체주기
1. 정류기반 배터리 문제상황
전기실에 가보면 정류기반(Rectifier)이 있습니다. 교류전기를 받아서 직류전기로 바꿔주고 이걸 배터리에 충전하는데도 사용하고 전기 판넬들 조작전원이나 램프에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정류기반앞에 보면 상태를 볼 수있는 창이 하나 있습니다.
이 창에 DC Under Voltage 램프에 불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면 정류기반에 뭔가 문제가 있구나 생각하면 됩니다.
정류기반을 보면 차단기가 여러게 있습니다. 이중 ac input 차단기. 즉, 한전전원 차단기를 내렸을 때
전압계가 표시하는 전압이 120v가 그래도 나와줘야 합니다.
배터리가 있기 때문이죠. 한전전원을 내려도 배터리에 의해 120v가 그래로 나와줘야 하는데
ac input 차단기를 내렸을 때 전압계의 전압이 120v에서 뚝 떨어진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겁니다.
2. 배터리 전압 측정
배터리를 확인해보면 9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정류기반의 ac input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각각 배터리 하나하나의 전압을 측정해보면 됩니다.
배터리 전압을 측정할 때는 후크메타를 이용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고 밧데리용 테스터기로 측정을 해야 정확합니다.
정류기의 충전 정격전압을 확인해야 합니다.
충전정격전압이 DC120V라고 하면
120V/9 CELLS = 12.22V/CELL 이 되어야 합니다.
발전기나 ups, 정류기반 축전지 점검 방법 (tistory.com)
3. 배터리 교체 안 할 시 폭발 가능성
만약 위의 전압보다 많이 낮게 혹은 많이 높게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거나 불량이 발생하면 교체해줘야 합니다.
배터리는 9개를 직렬 연결시 그 중 몇개의 셀(배터리)이 불량이 발생했다고해서 불량 배터리만 교체하시면
나중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유는 셀 밸런스가 맞지 않아 언밸런스 과부하로 인한 상태 안좋은 배터리가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거죠.
그래서 이런 경우 전부다 교체하시는게 가장 안전한 작업 방법이고 효율적입니다.
참고로 축전지 배터리는 충전할수는 있어도 복원 방법은 없다고 봅니다.
일부는 내부 전해액만 보충하면 배터리가 살아난다고 하는데 전해액 보충한다고 배터리 내부의 각 셀마다 격자판 및 격리판의 손상이 복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비상발전기 배터리 교체하는 방법(+,-순서) (tistory.com)
아주 낮게 측정되는 전압은 방전 종지전압 넘어섰기때문에 폐기해야합니다.
납축전지 충방전 종지전압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방전도 10.8v 이하로 내려가면 충전되도 제대로된 기전력을 내지못하고 방전시 급속히 떨어집니다.
황산비중의 문제도 있어서 예전같으면 황산을 넣어 살렸겠지만 요즘은 무보수 씰타입이라서 폐기가 답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충전저항이 생기는 이유가 베터리 전극판에 붙어있는 황산염이라는게 문제입니다.
고주파로 스스로 전극판을 떨어서 털어내는 황산염제거기(desulfator)가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베터리 모두 폐기하고 새로 교체하시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폭발해서 사람 다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고 납축전지 전해액이 황산이니 주의하시고 옆에 충방전하면서 호흡하는 vent 구멍이 있습니다. 여기서 수소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잘못하면 폭발이지요. 베터리 교체할때 신경 쓰셔야합니다.
정류반 배터리 교체 순서와 방법에 대해 (tistory.com)
4. 배터리 교체주기
정류기반 배터리는 5년, 발전기 배터리 3년, UPS 배터리 3년 되면 무조건 교체하세요. 5년 이상되면 폭발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폭발사례가 많고요.
발전기는 소방부하로도 쓰이면 3년 되기전에 무조건 교체하세요 비상시 기동안되면 안전관리자 독박입니다.
3년 넘으니 기동 실패사례 경험자 입니다. UPS는 용량이 딸려 해당시간까지 전기공급 못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배터리 없체 권장이 5년 입니다.
직렬 연결이기때문에 절대로 다 같이 교환해야 합니다. 내부저항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시 접압 강하가 달라집니다.
폭발의 원인이 됩니다.
제조사나 배터리종류에 따라 권장주기가 다릅니다. 보통 무보수밀폐형 3년, 무누액밀폐형5년입니다.
'전기자료 > 전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교체하는 방법 순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3.06 |
---|---|
콘센트 교체하는 방법 순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3.05 |
전등라인, 스위치라인 결선해보기(1,2구 스위치) (0) | 2024.02.29 |
3구 스위치를 교체할 때 테스터기 없이 전선 아는 방법 (0) | 2024.02.28 |
유도등 결선(2선식,3선식), 누전확인 및 교체주기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