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료/전기궁금증.정보(60)
-
수변전설비 전등, 전열, 동력, 실험용 TR 분리 이유
수변전설비 전등, 전열, 동력, 실험용 TR 분리 이유 1. 문제상황 수변전설비 전등/전열/동력/실험용 TR이 분리시켜놓은 이유가 있나요? 전등전열은 같이쓰는이유는? 2. 이유 (1) 대체로 1000kw미만이면 전등 전열 동력 다 같은 변압기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1000kw가 넘어가면 분리를 하게되는데 일반적으로 전등전열을 같이 묶고 동력을 분리하는 이유는 그래야 용량이 균등하게 분리되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전등전열 700kw 면 동력은 500kw 정도로 떨어지죠. 어떤경우에는 동력이 더 많은 용량을 잡아 먹기도 합니다. 그리고 추후 용량이 증설 되도 분리를 해야 각 변압기 용량에 맞게 수용할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2) 전등.전열 - 일반부하(220/380) 큰 모터류 - 동력부하(380)..
2023.10.26 -
태양광설비 보호계통 87T,51G,67N
태양광설비 보호계통 87T,51G,67N 1. 문제사항 154/22.9 변압기가 yy 결선이고 87T 비율차동보호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때 변압기 2차측 보호에 51G 67N이 추가로 적용이 되어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87T로 지락/단락에 대한 주 보호가 되고 있는데 51G나 67N은 지락사고에 대한 백업용으로 설계된 것일까요? 변압기 ngr을 통해 지락전류를 51G로 검출하는데 67N 방향지락계전기 까지 필요가 있는 것인지? 2. 원리, 이유 1. 154/22.9kV 변압기라면 아마도 Y-y-d(안정권선)의 결선을 갖는 변압기일텐데, 고압권선측인 154kV도 Y의 중성점 접지, 2차저압측 권선인 y도 (아마 말씀하신 NGR을 통한) 중성점 접지가 되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51G와 67N의 보호범위..
2023.10.25 -
직렬리액터 용량과 콘덴서 용량 6%
직렬리액터 용량과 콘덴서 용량 6% 1. 문제상황 직렬리액터 용량이 콘덴서용량보다 6% 커야된다고 알고 있는데 명판전류로 보았을때 직렬리액터 전류값이 작은데 이게 맞는건지 문의드립니다 해답 (1) 5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입니다. 예를 들어, 콘덴서의 용량이 100kVA이면,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4kVA이어야 합니다. 직렬리액터의 용량이 콘덴서의 용량보다 작으면, 5고조파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습니다. 5고조파는 전력망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고조파는 전압과 전류의 왜곡을 유발하여 전력 효율을 저하시키고, 전력망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직렬리액터와 같은 필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2) 콘덴서용 직렬리액터는 콘덴서 용량..
2023.10.24 -
ACB 기중차단기 차지, 디스차지 차이점(CHARGE, DISCHARGE)
ACB 기중차단기 차지,디스차지 차이점(CHARGE, DISCHARGE) 정기검사인데 기중차단기 판넬 내부에 3대중에 1대만 charge 되어있고, 2대는 discharge 되어 있는데 어느것이 정상입니까? -차단기가 투입되어 있으면, 디스차지 되구요, 차단기가 개방되어 있으면 차지되어야 정상입니다. 용어는 모르겠지만 판넬 외부손잡이 브레이크 레버를 돌리면 차단 되는데는 지장이 없는지,아니면 투입할때 자동으로 투입이 안되는건지 좀 가르쳐 주세요. -차지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에서 캠스위치로 투입하면 투입되고, 차지가 되어 있지 않으면 투입이 안됩니다. 역으로, 디스차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스위치 오픈하면 오픈되고, 디스차지 되어 있지 않으면 오픈이 안됩니다. 저의 생각인데 디스차지(방전되다)를 충전..
2023.10.23 -
비접지전로에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는지?
비접지전로에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는지? 1. 문제상황 비접지 전로 3상 220v에서 분기회로 단상에 누전차단기를 사용 했을 경우 누전차단기가 동작하는건지요? 인체가 접촉을 하더라도 비접지에서는 누설전류의 크기가 아주 작은편이라 동작이 안되어야 하는것 아닌지요?? 2. 해답 (1) 비접지는 지락이 되더라도 지락전류의 폐회로 구성이 대지정전용량밖에 없어 극소량의 지락전류만 생겨 누전차단기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비접지 계통에서는 지락전류가 아니라 지락시 전압으로 동작하는 gpt를 따로 설치합니다 (2) 누전차단기는 zct의 원리를 이용한 차단기로 전류 불평형 즉 누전에의한 누설전류에의해 동작하는 원리입니다 누전차단기는 영상고조파가 많이발생하는 곳에는 오동작을 많이하고 정상분역상분고조파성분이 많은 계통에..
2023.10.23 -
인버터회로의 1,2차 전압차이 의의
인버터회로의 1,2차 전압의 차이 의의 1. 문제상황 인버터회로의 1,2차 전압에 차이가 있을거라고 측정해보란 말씀을 해주셨는데 인버터는 손실이있더라도 주파수변환장치이므로 해당전압에 맞출 수 있지 않을까요? 1,2차 전압에 차이는 어떤 의의가 있을까요?? 2. 해답 (1) 일반적인(특별한 경우는 예외) 인버터는 1차측이 380볼트(예를 들은 것임) 이며 2차 측은 주파수 변화에 따라서 전압을 통상적(특별한 경우 예외) 주파수가 낮아짐에 따라 전압도 낮게 합니다. 즉 2차측 전압은 주파수에 따라서 전압을 변동 시킵니다. 그래야 주파수가 낮을 때 과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주파수가 낮으면 유도리액턴스가 작아져서 결국은 임피던스가 작아 지므로 과전류가 흐르는데 이것 보상하기 위해서 전압을 낮도록 합니다. 그래..
202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