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료/전기궁금증.정보(60)
-
모터 번호 주기 안 되어 있을 때 결선하기
모터 번호 주기 안 되어 있을 때 결선하기 1. 문제상황 모터가 있는데 통상 결선부에 번호나 알파벳으로 선마다 표시되어 있는데 이 모터는 표시없이 6가닥만 있어서 1-4 2-5 3-6식의 각 코일을 확인 하려는데 일단 각 코일은 도통으로 찾았는데 1,2,3번을 찾아서 전원을 주고 4,5,6번을 컴몬하여야 하는데 확인이 안되서요 혹시 예를 들어 1,2,4에 전원을 주고 3,5,6을 컴몬시켜 기동하면 어떠한 문제가 생기나요? 2. 해결법 (1) 다 지워진 상태인가봐요. 코일이 나온부분 자세히 보시면 코일이 위에서 3가닥 아래에서 3가닥 나와 있기에 어느정도 구분됩니다. 위에서 나온 3가닥이 1,2,3 또는 4,5,6 입니다. 물론 순서는 1,3,2가 될수도 있고요. 결선후 확인해야겠죠. 사용전압이 380v이..
2023.11.24 -
터빈, 발전기의 속도, Governor, 전력의 크기 관계
터빈, 발전기의 속도, 가바나(Governor), 전력의 크기 관계 1. 문제상황 비상발전기 운전 시 보통 속도를 올리면 가바나(Governor- 조속기)가 변화하고 전력도 같이 올라가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속도, 가바나(Governor- 조속기) , 전력의 크기는 어떤 연관이 있나요…? 2. 의견 (1) 디젤이든, 터빈이든, 발전기의 속도는 일정합니다. 발전기는 반드시 일정한 속도를 내야합니다. 4극이면, 1800rpm으로 일정해야 출력주파수가 60Hz가 됩니다. 일단, 발전기를 기동하면 엔진축 플라이휠에 속도감지센서가 엔진속도를 감지해서 가버너에 전달하면, 가버너는 설정된 속도값과 비교해 연료랙크를 밀거나 당겨서 출력속도를 조절합니다. 이렇게 무부하로 1800rpm으로 운전하다가 부하를 걸게되면,, 발전..
2023.11.23 -
전기안전관리자로 일하게 되면 필요한 장비, 물품
전기안전관리자로 일하게 되면 필요한 장비, 물품 1. 상황 전기안전관리자가로 처음 선임학 됐는데 필요한 장비는 무엇이 있나요? 2. 필요한 장비 (1) 기본 정비에 필요한 공구나 장비는 대동소이하니 넘어가구요. 크게 많이 쓰이는 계측기는 1. 절연저항테스터기(메거) 2. 후크메타 + 멀티테스터기 3.신호발생기 (계측기류 4~20ma 점검시 필요함) 그외 직무고시점검시 필요한것들 열화상카메라, 접지저항계, 고전압테스터기. 소형발전기, 등등 비싸기도하고 그냥 직무고시 관련점검은 분기점검 즉 열화상, 접지,절연 까지만하시고 연차점검은 외주 주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외 시퀀스 판독은 기본이고 plc기본지식 외 계장파트 좀 만지셔야 일좀한단소리 듣습니다. (2) 저도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부족한 장비[메가..
2023.11.20 -
접지선을 만지면 감전이 되지 않을까?
접지선을 만지면 감전이 되지 않을까? 1. 문제상황 접지선을 후크로 전류측정을 햇는데 2A가 흘렀습니다. 선임이 만져보라고 해서 만졌더니 아무렇지도 않던데.. 왜 2A가 흐르는데 아무느낌이 안나는건가요? 2A가 약한건가요 아니면 접지선이라서 그런건가요 2. 이유 (1) 접지선은 저항은 3종기준으로 법적말고 실현장에서20옴 인체저항은 3000옴정도 입니다 인체에서 저항을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저항이 없는 접지선을 통해서 대지로 방전되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2) 접지선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접지극에 제대로 연결이 안된 접지선을 만지면 사망할 수 있습니다. 접지선을 만져서 감전된 사망사례도 있습니다..가능한 맨손으로 만지지마시길..특히 접지선을 접지단자에서 접지봉에서 분리할때 주의하세요.. (3) 접지선의..
2023.11.19 -
아답터와 SMPS의 차이점
아답터와 SMPS의 차이점 1. 문제사항 12v 12A 출력이 필요해서 smps로 작업했는데 그냥 아답타로 작업하면 편할걸 뭐하러 smps다냐고 하네요 그러면 smps 와 아답타는 무슨 차이점이 있을까요? 분전함 내에 설치할경우에요 2. 차이점 (1) 아답터와 SMPS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바꾸는 기능은 똑같습니다. 아답터는 패러데이와 렌쯔의 법칙을 적용해 변압기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수비에 의한 변압을 하고 이를 정류하여 DC전원을 얻는 방식으로 철심과 코일이 들어가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고 부피가 크며 무겁습니다. 요즘은 잘 안쓰는 기기죠. SMPS는 반도체 소자를 스위칭하면서 AC전원을 쪼개서 변압을 하고 이를 정류하여 DC전원을 얻는 방식으로 철심과 코일이 없어 효율이 좋고 부피도 적고..
2023.11.18 -
차단기 투입 및 차단 순서에 대해 알아보자.
차단기 투입 및 차단 순서에 대해 알아보자. 1. 궁금사항 (1) 메인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 on off 조작 순서 질문 있습니다 ON할 때 메인차단기를 먼저 온하고 그 다음 부하차단기 온하는거랑 부하차단기 온하고 메인차단기 온하는거 둘 다 상관없이 똑같나요? OFF할때도 상관 없는지 궁금합니다 + (2) ACB 와 MCCB 정전 시킬때 MCCB부터 OFF 시키는게 맞는거죠? 복전은 반대구요 또한 메인 MCCB만 ON OFF 시키고 부하측 MCCB는 그냥 ON 상태로 둬도 되나요? 아니면 부하 측부터 OFF 시켜줘야 하나요? 2. 해답, 이유 (1) 차단off는 아래에서 위로 투입on은 위에서 아래로 진행합니다. 간단히 tv,컴퓨터 같은거 생각해 보세요. tv.컴 자체전원을 먼저 끄고 콘센트 뽑아야지....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