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료/전기궁금증.정보(60)
-
변압기 증설하는 과정, 과부하 문제, 온도의 중요성
변압기 증설하는 과정, 과부하 문제, 온도의 중요성 (1) 변압기 증설 과정 변압기를 증설하는 이유가 기존 용량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럼 첫번째로, 추가로 증설되는 부하용량을 알아야합니다.(가장 중요!!) 두번째, 부하용량에 대한 수용률 및 부등률을 알아야합니다.(여기까지하면 변압기용량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변압기용량에 따라 상위 전력설비의 용량도 확인하고, 용량이 충분하다면 보호계전기도 재셋팅해야합니다. 네번째, 배전반 판넬 구성을 토대로 공사업체를 선정하여 견적받아야합니다. 다섯번째, 변압기가 추가되므로, 한전 및 한국전기안전공사에 신고하여 계량기 및 사용 전 검사 받아야합니다. 여섯번째, 정전이 수반되므로, 공사일정, 정전기간 등을 파악하시어 차질이 없도록 신경써야합니다...
2023.12.01 -
전동기에서 MCCB가 있는데 EOCR을 설치하는 이유
전동기에서 MCCB가 있는데 EOCR을 설치하는 이유 1. 문제상황 eocr이 과전류를 잡기위해서 설치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기능은 이미 mccb가 수행하고 있는데 굳이 eocr을 통해서 이중으로 보호를 하는지 궁금해요 2. 해답 (1) MCCB는 정격 살짝 초과시 반한시 특성으로 트립시간이 수십수백분이라 모터 타버립니다 EOCR은 초단위로 조정가능하니 보호할수 있죠 모터는 구동하는 펌프, 팬 등이 공정상 과부하걸릴 경우가 많습니다(펌프 후단압력, 잼, 베어링소손) (2) 메인Mccb가 30A를 달아놓고 모터정격이 10A라고 비약적으로 가정할때 30A에 트립되면 이10A모터는 괜찮을 까요? 그렇다고 해서 MccB를 10A로 바꾸어 놓으면 다른 설비를 같이 사용할수 있을까요? 계전기를 설치하는 이유는 ..
2023.11.29 -
전동기 정방향과 역상, 회전방향
전동기 정방향과 역상, 회전방향 1. 문제상황 전주에서 온 선을 배전함에 연결하고 작업을 끝내니 건물안의 전동기는 정방향으로 돌고있는데 회사분들 께서 역상이 걸렸다고 하셨습니다. 그 건물 사장님께서 r은 r상에 t는 t상에 되어야되는거 아니냐고 말씀하시고 저희 회사분은 상을 정확하게 다 맞게 결선하는건 힘들다고 말씀하시더군요.. 전주에서 선이 오는 중에 꼬이는 경우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전동기가 정방향인데 역상이라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무슨 상황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2. 해답 (1) 모터에 3상이 인가 되었을때 회전방향은 그때 그때 다 다릅니다. 3상이 들어간다고 무조건 사용자 요구에 맞는 방향으로 갈수가 없습니다. 모터가 마주보고 설치 되어서 컨베이어를 돌린다 쳤을때 하나는 우로 가는게 ..
2023.11.28 -
6.6kV 공장 발전기 차단기 선정시 주의사항
6.6kV 공장 발전기 차단기 선정시 주의사항 1. 문제상황 6.6kV 고압용 공장내 자가 발전기의 차단기를 선정하려고 합니다. 공장내 자가 발전기의 차단기를 선정할 때 발전기용 차단기가 있다고 들었는데 반드시 발전기용 차단기를 써야 사용전 검사에서 통과할 수 있는지? 일반 차단기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지? 별도 규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발전 용량검토에 따라 11kv 또는 6.6kv으로 선정될 예정입니다 발전기 1대의 출력이 30~45MW 이내로 검토되고있는데 공장내 전력사용 예정이고요) 2. 해답 1. 말씀하신데로, 발전기 차단기 관련 전용 IEC규격(구 IEEE)에 따른 차단기가 있긴하나, 외산이고 가격도 비싸고, 또 국내 사용전 검사 시 요구되는 강제사항도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또,..
2023.11.28 -
절연저항 측정 250v 500v 1000v 등 구분 이유
절연저항 측정 250v 500v 1000v 등 구분 이유 1. 문제상황 절연저항테스트기 500v와 1000v 차이에 대해 어떤 때 500v를 쓰고 어떤 때 1000v를 쓰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왜 이렇게 구분하고 사용하는건지... 2. 이유 (1) 1000은 고압 전기기기용 500은 선로용 250은 저압가전제품용이라 생각하심 됩니다. 전압을 임의로 보내주는거라 저압에 1000v로 절연저항측정하면 기기에 손상을 줘서 고장날수 있습니다. (2) 전기쪽에서 궁금하거나 질문이 있을때는 원인자부담의 원칙을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로 저압케이블은 600V이하 사용이니 저압라인은 500V급 또는 250V급 메거/ 1000V이상은 케이블쪽은 고압CN-CV 이런쪽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전자기판 (PLC나 ..
2023.11.27 -
선진국은 110v를 쓰고 우리나라는 220v를 쓰는 이유
선진국은 110v를 쓰고 우리나라는 220v를 쓰는 이유 (1) 1. 왜 "선진국"은 110V를 사용하느냐는 내용인데, 선진국 중에 110V사용하는 나라는 대략 미국, 캐나다, 일본 정도밖에 없습니다. 지금도 110V를 사용하는 나라는 거의 대부분 미국의 경제 영향권이 강한 북중미 국가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유럽은 110V를 사용하다가 220v로 승압을 한 것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처음부터 220~240V의 전압을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나 일본도 110V를 사용했던 것은 미국의 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2. 미국이 왜 110V를 사용했느냐 하는 문제는 특별한 이유는 없고 역사적인 배경이 아닐까 싶습니다. 1900년대초 GE Edison이 처음 ..
2023.11.25